티스토리 뷰

능력주의란?

그들의 능력과 성취에 근거하여 개인들의 가치를 평가하고 보상하는 제도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성과주의 사회라고 일컫어집니다. 과거 중세, 근현대 사회에서의 사회적 배경, 가족 관계, 또는 상속받은 부와 같은 요소들이 중요한 요소였지만, 우리 사회는 개인의 노력과 성취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어집니다. 성과주의의 개념은 특출한 능력을 보여주거나 그들의 시도에서 초과하는 사람들은 정상에 오르고 번영과 인정을 누려야 한다고 제안하는 반면, 성과를 잘 발휘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제한된 기회나 낮은 지위를 목격할 수도 있는 사회상을 의미합니다.

 

작가의 주장

능력주의에 대한 환상: 샌델 성공은 개인의 노력과 능력의 결과일 뿐이라는 믿음인 능력주의(meritocracy) 개념에 도전합니다. 그는 이러한 관점이 사람의 궤적에 대한 행운과 상황의 중대한 영향을 간과한다고 주장합니다. 샌델은 능력주의의 지배적인 서술이 사회에 존재하는 구조적 불평등을 인정하지 못하여 성공한 사람들 사이에 자격 의식과 낙오된 사람들 사이에 실패감을 초래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능력주의 체계가 종종 왜곡된 가치와 성취 의식을 영구화시켜 독자들로 하여금 능력과 성공에 대한 이해를 재고하게 한다고 지적합니다.

업무의 존엄 : 저자는 모든 형태의 노동의 고유한 존엄성의 개념을 탐구합니다. 그는 사회에 필수적이지만 재정적으로 보상받지 못하는 특정 유형의 노동을 높게 평가절하하는 지배적인 능력주의적 서술을 비판합니다. 이 현상은 높은 지위의 직업들은 상승되는 반면 공동선에 크게 기여하는 직업들은 소외되는 사회적 분열을 초래합니다. 이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Sandel은 독자들이 모든 종류의 노동의 가치를 인식하도록 격려하고 사회가 어떻게 기여를 측정하고 그들의 노동에 기초하여 개인에게 보상을 주는지를 재평가하도록 말합니다.

공동체의 분열 : 이 책은 능력주의적 사고방식으로 인한 사회적 연대의 분열을 다루고 있습니다. 샌델은 능력주의적 틀 내에서 개인의 성공을 추구하는 것은 종종 다른 사회 집단 간의 분열과 소외로 이어진다고 주장합니다. 승자는 실패를 오로지 노력 부족 탓으로만 돌리면서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과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분열된 공동체 의식은 공동의 선을 약화시키고 공유된 도전에 대한 건설적인 대화를 방해합니다. 샌델은 연대를 육성하고 사회의 다른 부분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강조를 옹호함으로써 통합과 집단적 책임감을 촉진해야 한다고 합니다.

 

한국의 엘리트주의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에서 엘리트 주의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우선 사회적으로 상위 계층이나 특정 집단은 더 높은 권력과 혜택을 갖게 된다. 어린 시절 공부 또는 사회적 성공을 위해 혹독한 훈련에 대해 우호적인 사회이다. 이를 통해 엘리트 집단에 속하면 그렇지 못한 집단에 대해 무시하는 습성에 대해 반성과 더불어 통찰을 깨닫게 되었다. 한국에서 '학업 성취'는 개인의 미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이미 의무교육인 중학교부터 특수목적고등학교 등을 설립하여 엘리트 집단을 양성하고, 이를 통해 교육의 기회가 한정되게 된다. 또한 일부 대기업이나 전문직에 대한 선망이 큰데, 이러한 집단에 속하면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엘리트주의는 사회적인 불평등과 공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엘리트들이 특정 이익을 추구하거나 정책을 옹호하게 되면 사회 계층 간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 저자의 관점처럼, 사회에서 모든 개인이 공평하게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겠지만 더욱 포용적이고 보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서 자란 개인들이 더 낮은 교육 수준이나 적은 자원을 가지게 되어 기회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정책자는 교육, 사회복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노력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군가 엘리트 집단에 속해있고 이를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기만 했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한다. 나는 많은 부분 통찰을 얻게 된 책이다.

반응형